프로그래밍은 글쓰기이다.
- 어떤 일의 진행순서를 정하는 것이 프로그래밍이다.
- 다른 말로 일하는 절차에 대한 글쓰기다.
- 글로 작성한 '해야 할 일'을 정한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을 '실행'이라 한다.
- 모든 실행은 고유한 흐름을 갖는다.
- 프로그램의 목표는 근본적으로 '자동화'에 있다.
절차적 글쓰기
- 조건 → 조건에 대해 분석 → 분석에 대한 절차를 생각 → 절차를 문서로 기술 → 실행
식빵 + 나이프 + 버터를 가지고 빵을 만들때 순서
- 식빵 한조각을 접시에 올려 놓는다.
- 버터통의 뚜껑을 연다.
- 손으로 나이프를 잡는다.
- 나이프를 버터통에 넣고 버터를 퍼온다.
- 나이프에 묻은 버터를 식빵의 윗면에 퍼바른다.
프로그램을 잘 작성하고 싶다면?
- 선형자료 정렬 규칙(프로그램)을 '글로' 써본다.
-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프로그램으로 작성해본다. (컴퓨터 게임 X) → ex) 가위바위보
- 최대한 단순하게 + 최대한 많이 작성해본다.
- 프로그램 규칙을 알아본다.
- 게임 내 기능단위를 정의한다.
- 정의한 각 기능단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C언어 vs Python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을 배워라
변수와 상수
- 성장이 끝난 성인의 키는 '상수'이다.
- 하지만 나이는 매년 1씩 증가하는 변수다.
- 놀이공원의 입장료는 상수이다. 하지만 관람하는 손님의 나이는 변수다.
- 변수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는 수이다.
- (컴퓨터 입장에서) 사용자가 어떤 키를 입력할까?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변수이다.
- 생각해볼 문제: 나이에 따라 요금을 할인해야 한다면?
참고
'IT 지식 > C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파일과 인터프리터, 고급어 저급어 (0) | 2024.08.13 |
---|---|
가장 큰 수 찾기 (0) | 2024.08.11 |
가상 메모리란? (0) | 2024.08.09 |
컴퓨터의 구성 요소 (H/W, User mode, Kernel mode) (0) | 2024.08.08 |
컴퓨터의 구성 요소 및 프로그램, 프로세스, 스레드 (0)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