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개념 및 종류- 클라우드: IT 인프라 자원을 직접 보유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른 기업의 IT 인프라 자원을 빌려서 쓰는 것- 클라우드 비용: 자원을 빌려 쓴 것 만큼의 사용료를 월 과금 형태로 지불 = Pay as you go(사용한 만큼 지불) - 호스팅 vs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호스팅(웹 호스팅)서버 호스팅클라우드개념IDC의 특정 서버 자원을 빌려씀IDC의 특정 서버 자체를 빌려씀IDC의 특정 서버 자원 혹은 서버 자체를 빌려쓸 수 있고, 이 두가지 혼합도 가능특징자원 변경(확장 혹은 축소)시 OS 설치 등 세팅 시간이 필요함. 빠른 대응이 어려움자원 변경(확장 혹은 축소)시 유연하게 원하는 만큼 빠르게 변경 가능 → Elastic 하다는 것이 특징 - 코로케이션: 데이터센터..
온프레미스 개념과 3 Tier 아키텍처온프레미스 = 기업 자체 전산실- 기업이 자체 시설에서 보유하고 직접 유지 관리하는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 - 3 Tier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운영 환경이 컴퓨팅(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로 구성된 전통적인 아키텍처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의 3-Tier 아키텍처 차이PlatformInfraWeb ServerComputeWAS(Web Application Server)NetworkDBStorage 서버 - 스위치 - 스토리지 vs 컴퓨팅 - 네트워크 - 스토리지기능적 계층물리적 장비 표현설명컴퓨팅(Compute)서버(Server)애플리케이션, 가상머신, 컨테이너 등..
IT 인프라 기초 3요소-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위 3요소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존재함, DB는 굉장히 중요함 데이터베이스 개념 및 용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정보를 통합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 DB가 사용되는 곳: 게시판 글 작성 시 DB에 저장, 개인정보 및 ID/PW DB에 저장-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에서 결과물을 확인하고 싶으면 서버는 DB에서 저장된 정보를 가져와서 출력해줌- 엑셀도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사용자들이 DB안에 있는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
스토리지 개념 및 종류- 스토리지: 저장장치를 다수 장착한 대용량 고속 저장 장비로 서버 및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사용- 저장장치: 컴퓨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 휘발성의 기억 장치 - 스토리지는 데이터 저장뿐만 아니라 데이터 공유 목적으로 주로 사용됨- 서버에 장착된 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경우, 다수의 사람들과 데이터를 공유할 필요가 있을 경우 스토리지를 활용- 데이터 관리 및 보호를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탑재 RAID- 스토리지 데이터 저장 방식: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Independent Disks- 비싸지 않은/독립적인 다수의 디스크들의 배열, 집합-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 모듈로 구성, 디스크 읽기/쓰기 성능 향상 및 장..
네트워크 개념서버는 우리 몸의 눈,코,입,팔,다리 등 각각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볼 수 있다.네트워크는 여러 기관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혈관으로 볼 수 있다. - 네트워크(Network) : Net + Work, 그물을 짜는 행위 → 그물처럼 연결된 상태를 뜻함- IT 네트워크의 시작: 1960년대, 미국에서 하나의 거대한 메인프레임의 성능을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대의 단말기를 메인프레임과 전화선으로 연결함, 이것이 네트워크의 시작 - 단말기들을 메인 프레임(Main Frame)과 전화선으로 연결- 메인 프레임의 성능을 단말기들이 나눠서 사용- 1개 전화선으로 연결 시 동시에 사용 불가(예전에 전화와 컴퓨터 동시에 사용 불가한 원리와 동일)- 각 단말기별로 전화선이 ..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해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 클라이언트와 서버 둘 다 컴퓨터다. 서버의 역할 및 종류-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서버의 종류 - 웹 서버: 정적 콘텐츠(HTML, CSS, 텍스트, 이미지 등)을 클라이언트에 전달 - 애플리케이션 서버: 동적 콘텐츠(DB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조작 등)을 클라이언트에 전달 - 데이터베이스(DB)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저장해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동하는 서버 - 리버스 프록시 서버: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달(로드밸런싱 역할 가능),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