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 IP 의 의미
TCP / 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는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이다.
TCP / I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TCP / IP에는 두가지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터넷으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개별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도 있다. TCP / IP는 인터넷의 기본 통신 언어다.
기본적으로 TCP / IP를 사용하면 한 컴퓨터가 데이터 패킷을 컴파일하고 올바른 위치로 전송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 할 수 있다.
TCP 는 무엇인가?
최상위 계층인 TCP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져 와서 패킷으로 컴파일 한 다음
동료 TCP 계층에서 수신하도록 전송하여 패킷을 유용한 정보 / 데이터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TCP는 전달받은 패킷을 재조립하고, 패킷에 손상이 있거나 손실된 패킷이 있다면 재전송을 요청하는 패킷을 전송하여
재전송 받습니다.
※ 패킷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자른 단위로 인터넷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단위
IP 는 무엇인가?
IP는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약이다.
전 세계 수억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정체를 알 수 있도록
특별한 주소를 부여했는데 이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
IP는 4개의 숫자로 구성되며 숫자의 크기에 따라 IPv4(32비트, 각 숫자는 1바이트),
IPv6(128비트, 각 숫자는 4바이트)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IPv4는 10진수로 표현하며 각 자리는 . 으로 구분하고,
IPv6는 각 자리를 4자리 16진수로 표현하며 각 자리는 : 로 구분한다.
맨 아래 계층인 IP는 올바른 목적지를 찾는 패킷 GPS 역할을 한다.
지도의 관점에서 IP를 생각하면 IP 계층은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는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각 패킷은 게이트웨이 컴퓨터 (도로 표지판)를 통과하여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CP / IP 의 4계층
TCP/IP가 많이 사용되면서 흔히 사용되던 OSI 7계층을 더욱 추상화 한 TCP/IP 4계층이 등장했다.
TCP / IP에는 위와 같이 4개의 층이 있다.
- 네트워크엑세스 계층(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 인터넷계층(네트워크계층),
- 전송계층(전송계층)
- 응용계층(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Network Access Layer )
- OSI 7계층의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TCP/IP 패킷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하는 것과 네트워크 매체에서 TCP/IP 패킷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
- 에러 검출 기능(Detecting errors), 패킷의 프레임화(Fraimg packets)
- 네트워크 접근 방법, 프레임 포맷, 매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
-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
- LAN, 패킷망, 등에 사용됨.
2 계층 인터넷 계층 ( Internet Layer )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 어드레싱(addressing), 패키징(packaging), 라우팅(routing) 기능을 제공.
- 네트워크상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성을 제공하게 됨.
- 프로토콜 종류 – IP, ARP, RARP
3 계층 전송 계층 ( Transport Layer )
- OSI 7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
-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세션과 데이터그램(datagram) 통신서비스 제공
-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 프로토콜 종류 – TCP, UDP
4 계층 응용 계층 ( Application Layer )
- OSI 7계층의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에 해당한다.
- 프로그램(브라우저)가 직접 인터액트하는 레이어. 데이터를 처음으로 받는곳.
- 다른 계층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
- HTTP, SMTP등의 프로토콜을 가진다.
- TCP/UD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한다.
- 프로토콜 종류 – FTP, HTTP, SSH
출처:https://coding-factory.tistory.com/613
'IT 지식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밸런서(Load Balancer)의 개념과 특징 (0) | 2023.01.03 |
---|---|
웹 ( Web ) 기초 (0) | 2022.12.26 |
TCP / UDP의 개념 (0) | 2022.12.22 |
OSI 7 계층 정리 (0) | 2022.12.21 |
3-way / 4-way Handshake 개념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