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지식/IT 정보

공인 IP 와 사설 IP 의 차이

2023. 1. 24. 21:00
목차
  1. 1. 공인 IP ( Public IP )
  2. 2. 사설 IP ( Private IP )
  3. 2.1. 사설 IP 주소대역
  4. 3. 사설 IP 와 공인 IP의 차이
  5. 4. 고정 IP 와 유동 IP

1. 공인 IP ( Public IP )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이다.

공용 IP 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 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2. 사설 IP ( Private IP )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며,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 나 장치에 할당된다.

 

 

2.1. 사설 IP 주소대역

사설IP 주소는 다음 3가지 주소대역으로 고정된다.

  • Class A : 10.0.0.0 ~ 10.255.255.255
  • Class B : 172.16.0.0 ~ 172.31.255.255
  • Class C : 192.168.0.0 ~ 192.168.255.255

 

 

3. 사설 IP 와 공인 IP의 차이

  공인 IP (Public IP) 사설 IP (Private IP)
할당 주체 ISP (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 라우터 ( 공유기 )
할당 대상 개인 또는 회사의 서버 ( 라우터 ) 개인 또는 회사의 기기
고유성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공개 여부 내/외부 접근 가능. 외부 접근 불가능

사설 IP 주소만으로는 인터넷에 직접 연결할 수 없다. 

라우터를 통해 1개의 공인( Public ) IP만 할당하고, 

라우터에 연결된 개인 PC는 사설( Private ) IP를 각각 할당 받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 : 사설 IP를 할당받은 스마트폰 혹은 개인 PC가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으로 전송하면,

                 라우터(공유기)가 해당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꿔서 전송한다.

 

🌏➡💻 : 인터넷에서 오는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도 해당하는 사설 IP로 변경한 후 개인 스마트폰 혹은 PC에 전송한다.

 

 

 

4. 고정 IP 와 유동 IP

고정 IP는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로 한번 부여되면 IP를 반납하기 전까지는

다른 장비에 부여할 수 없는 IP 주소를 말한다.
유동 IP는 장비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남아 있는 IP 중에서

돌아가면서 부여하는 IP를 뜻한다.

 

인터넷 상에서 서버를 운영하고자 할 때는 공인 IP를 고정 IP로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즉, 공인 IP를 부여받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내 서버에 접속할 수가 없고,

고정 IP를 부여하지 않으면 내 서버가 아닌 다른 사람의 서버로 접속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는 각 가정마다 공인 IP를 유동 IP로 부여하고,

공유기 내부에서는 사설 IP를 유동 IP로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출처: https://velog.io/@hidaehyunlee/%EA%B3%B5%EC%9D%B8Public-%EC%82%AC%EC%84%A4Private-IP%EC%9D%98-%EC%B0%A8%EC%9D%B4%EC%A0%90

'IT 지식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솔루션 종류  (2) 2023.01.28
정보보안 개념 & 3대 CIA 요소  (0) 2023.01.26
쿠키와 세션의 특징 및 차이  (0) 2023.01.23
NMS & SNMP / Syslog / ICMP 의 개념  (0) 2023.01.19
파일서버 & CIFS / NFS / SMB 의 개념  (0) 2023.01.18
  1. 1. 공인 IP ( Public IP )
  2. 2. 사설 IP ( Private IP )
  3. 2.1. 사설 IP 주소대역
  4. 3. 사설 IP 와 공인 IP의 차이
  5. 4. 고정 IP 와 유동 IP
'IT 지식/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 솔루션 종류
  • 정보보안 개념 & 3대 CIA 요소
  • 쿠키와 세션의 특징 및 차이
  • NMS & SNMP / Syslog / ICMP 의 개념
Security Engineer
Security Engineer
IT 공부
Security Engineer
IT-log
Security Engineer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9) N
    • Programming (39)
      • Python 웹 스크래퍼 만들기 (39)
    • IT 지식 (62) N
      • IT 정보 (27)
      • CS 기초 (24)
      • 운영체제 (8)
      • IT 인프라 기초 (3) N
    • 보안 (45)
      • 악성코드 분석 (10)
      • Bandit 워게임 (25)
      • 취미로 해킹 2 (6)
      • 환경 구축 (4)
    • 웹 해킹 (23)
      • 웹 기초 지식 (8)
      • SQL 기본 (2)
      • 웹 해킹 및 시큐어 코딩 기초 (1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취미로해킹
  • Python
  • WarGame
  • CSS
  • overthewire
  • 워게임
  • Def
  • Beautifulsoup
  • 리눅스
  • 악성코드
  • 시큐어 코딩
  • HTML
  • 운영체제
  • 모의해킹
  • flask
  • 웹 개발
  • webScrapper
  • bandit
  • 취미로 해킹
  • it 운영
  • 컴퓨터
  • 웹
  • 악성코드 분석
  • CS 기초
  • 웹 해킹
  • 파이썬
  • CS
  • 해킹
  • Selenium
  • Web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Security Engineer
공인 IP 와 사설 IP 의 차이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