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while """ 코드 """ 하면 코드(특히 여러줄)가 해쉬태그 되어 무시가 된다 ctrl + / 과 같다. 이전에 써놧던 코드를 주석처리할때 사용 while 은 if 와 같다, 멈추지 않는다는 부분만 빼면 while True: print("Hi Im True") Hi Im True 가 무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trl + c 를 눌러서 멈추자 user가 달려서 20 km 에 도달 하면 멈추는 코드를 작성해본다. distance = 0 while distance < 20: print("I'm running:", distance, "km") distance = distance + 1 distance 라는 변수에 distance + 1 을 계속 넣어준다 처음에 distance..
3.4 Python Standard Libarary 컴퓨터가 숫자 하나를 선택하고, user 도 숫자 하나를 선택한다. user가 숫자를 정확하게 맞췄다면 이기고, 아니면 진다. user_choice = int(input("choose number ")) pc_choice = 50 if user_choice == pc_choice: print("You won!") elif user_choice > pc_choice: print("Lower!") elif user_choice < pc_choice: print("Higher!") 이전에 했듯이 int는 input 에서 나온 string 형태의 "20" 을 int 형태의 20으로 변환 시켜준다 int : "20" → 20 모든 조건이 들어가므로 굳이 el..
3.0 If ( 조건문 ) control flow 조건문의 예를 들면 ATM에 카드를 넣으면,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ATM의 코드에는 '만약 비밀번호가 정확한다면, 사용자에게 돈을 줘' 라는 조건문이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에러를 보여줘' 이게 바로 조건문이다. 조건문은 우리가 다양한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비밀번호가 맞다면, 무언가를 하고, 그렇지않으면 다른 무언가를 한다. 조건문을 배우면 다양한 상황을 다룰 수 있는 더 복잡하고 유용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a 변수에 10 이라는 값을 넣어서 a 와 10 이 같으면 ( True 이면 ) correct 를 출력한다 else를 사용하여 만약 a 변수에 9 라는 값을 넣어 a 10 이 같지않으..
2.10 데이터를, 즉 주스 기계에 과일을 넣으면 맛있는 주스를 얻게 된다. = return 키워드가 하는 역할 return 을 사용해 함수로 부터 값을 받아 낸다. return은 함수 바깥으로 값을 보내주며, python은 그 값을 가져다가 코드 상에 대입해준다 return은 함수 바깥으로 값을 던진다, python은 그 값을 잡아서 코드에 대입해준다 return = 함수 바깥으로 값을 보낸다 (tax_calculator(1000) 로 보낸다) tax_calculator 를 호출하면 money parameter 에 1000 이라는 값을 넣어서 1000 * 0.35 즉 350의 값을 준다. 그 값을 a라는 변수에 넣어준다 def tax_calculator(money): return money * ..
2. 6 parameter 함수 이름에는 공백이 들어가면 안되고, 숫자로 시작해서도 안된다. def say_hello() - say_hello 라는 함수(function)를 정의 def 하고 괄호 () - 괄호를 쓰는 것은 실행버튼을 누른거랑 같다 python 은 공백에 민감하기 때문에 함수 안에 정의 하기 위해서는 def say_hello(): print('abc') - 꼭 스페이스 바 2번 or tab을 눌러서 안에다 정의해주자. 밖에다 정의하면 따로따로 되는거 Paramaters & Arguments (매개변수와 인수) 둘이 혼용해서 사용되는 헷갈리는 용어이므로 잘 구분해야 한다. parameter(매개변수)는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Argument(인수)는 함수를..
웹사이트는 text 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브라우저에게 전달해 브라우저가 코드를 이해해서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text를 어디에 작성할지를 알면 웹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브라우저는 text 형식의 코드를 받고 표현해준다. 개발자로써 해야할 거는 어떤종류의 text를 써야하고, text를 어디에 써야하는지 배우는거다. 웹사이트는 최소2가지에서 최대 3가지 종류의 text로 구성되어있다. HTML CSS Javascript 브라우저는 멍청해서 인간들이 쓰는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구글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게 content가 뭔지 우리가 알려줘야한다. HTML을 사용해서 브라우저에게 이건 title 이건 image 이건 list 라는 식으로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