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뺄셈 하는 방법(1)
- 6 + 4 = 10 → 4는 6에 대한 10의 보수이다.
- 13 - 6 = 7
- 13에 6에 대한 10의 보수 4를 더하고, 10의 자리에서 1을 빼도, 역시 7이다.
- 1 + ㅁ = 10 → ㅁ는 1에 대한 10의 보수이다. (1에 얼마를 더하면 10이 될까)
- 2 + ㅁ = 10 → ㅁ는 2에 대한 10의 보수이다. (2에 얼마를 더하면 10이 될까)
- 보수 덧셈 → 뺄셈
컴퓨터가 뺄셈 하는 방법(2)
- 2진수에서 0은 1로, 1은 0으로 뒤집으면 1의 보수가 된다. → NOT 게이트
- 1의 보수에 1을 더하면 2의 보수이다. → 2의 보수 = 1의 보수 + 1
- 어떤 숫자에 2의 보수를 더하면 자동으로 2진수 뺄셈이 된다. 단, 자리올림은 버린다.
2진수(4비트) | 16진수 |
0000 | 0 |
0001 | 1 |
0010 | 2 |
0011 | 3 |
0100 | 4 |
0101 | 5 |
0110 | 6 |
0111 | 7 |
1000 | 8 |
1001 | 9 |
1010 | A |
1011 | B |
1100 | C |
1101 | D |
1110 | E |
1111 | F |
13 - 6 = 7을 2진수로 계산한다.
1101 - 0110 계산
- 2진수 0110의 1의 보수를 구한다.
- 0110의 1의 보수 → 1001
- 여기에 1을 더한다. → 2의 보수 → 1001 + 1 = 1010
- 1101 + 1010 = 1 0111 → 여기서 맨 앞의 1을 뺀다. → 0111
- 1101 - 1010 = 0111
9 - 6 = 3을 2진수로 계산한다.
1001 - 0110 계산
- 2진수 0110의 1의 보수를 구한다.
- 0110의 1의 보수 → 1001
- 여기에 1을 더한다. → 2의 보수 → 1001 + 1 = 1010
- 1001 + 1010 = 1 0011 → 여기서 맨 앞의 1을 뺀다. → 0011
- 1001 - 0110 = 0011
결론
- 덧셈이 가능하면 뺄셈이 된다.
- 덧셈이 가능하면 곱셈이 된다. → 여러 번 더한다.
- 덧셈이 가능하면 나눗셈이 된다. → 여러 번 뺀다.
- 덧셈으로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참고
'IT 지식 > C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의 연산 과정 (0) | 2024.08.02 |
---|---|
컴퓨터의 곱셈과 나눗셈 (0) | 2024.08.01 |
디지털 회로와 컴퓨터의 덧셈 (0) | 2024.07.30 |
컴퓨터가 사진을 인식하는 방법 (0) | 2024.07.29 |
컴퓨터가 글자를 인식하는 방법 (0) | 2024.07.28 |